교과서에 없는 아웃사이더 문명 – 문명의 곁길에서 역사를 보다.
교과서에 없는 아웃사이더 문명 – 문명의 곁길에서 역사를 보다. 흥선대원군 이전, 주변 소수 민족의 문명과 한국의 영향력1. 조선 이전, 변방의 역사와 소수 민족 흥선대원군(1820~1898)이 등장하기 전, 한반도는 단일민족의 땅이 아니라 만주, 요동, 연해주 등 북방 지역과의 교류가 활발했던 다민족과 문명 교차의 무대였다. 이 지역에는 부여, 고구려, 발해, 옥저, 동예, 예맥족 등 다양한 소수 민족이 번성하거나 흩어졌다. 한반도의 가장 북쪽과 만주, 연해주 일대는 오늘날 ‘주변부’로 여겨지지만, 실상은 고조선에서 부여~고구려~발해로 이어지는 대륙적 문명권의 연장선이었다. 만주와 부여, 예맥, 그리고 발해 부여: 만주 송화강 유역에 뿌리내린 고대국가로, 고구려, 백제, 발해 등 후대 국가 형성에 결정..
신라 말 사회의 작은 이야기 – 미시사로 본 격동의 시기
신라 말 사회의 작은 이야기 – 미시사로 본 격동의 시기1. 왕조의 그림자 속 일상의 풍경 신라의 말기는 화려한 삼국통일의 영광 뒤편에서 사회적, 정치적 균열이 깊어진 시대였다. 귀족들의 치열한 왕위 쟁탈전과 지방 반란, 그리고 국가 권력의 지방 이양 속에서, 평범한 사람들의 일상과 다양한 계층의 경험들 또한 역사의 마디마디를 형성했다. 이 글에서는 거시사의 영웅·왕·귀족이 아닌, 신라 말기 평민, 여성, 촌락민, 그리고 사회의 하층부에 속한 이들의 삶을 들여다본다. 2. 무너지는 신분과 동요하는 민심 왕경(경주)을 중심으로 한 중앙 귀족 사회는 여전히 화려했지만, 신라 말 허물어지는 골품제와 빈번한 왕위 쟁탈전은 사회 전체에 불안을 불러왔다. 귀족의 반란과 호족 세력의 성장, 농민 반란, 도둑대의 등장..